Back to Seoul Page

월강, 몸, 말, 소리 Cross a River, Body, Words, Sound

영상 상영/SCREENING

27 OCT

5PM

15분/15 min

작품목록
1. <월강(越江)>, 단채널 영상, 1 분 8 초, 2016
2. <몸>, 단채널 영상, 4 분 17 초, 2016
3. <말>, 단채널 영상, 4 분 8 초, 2016
4. <소리>, 단채널 영상, 6 분 29 초, 2016

2016년 새롭게 시작한 <코리안 디아스포라> 프로젝트의 결과물 중 하나이다. 코리안 디아스포라에 관한리서치를 하던 도중, 여느 이산민들과 달리, 여전히 “우리”와 같은 “말”과 “글”을 사용하고 있는 조선족에 대해관심을 갖게 되었다.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조선족 이주의 역사는 20세기를 거치면서 조선인에서 황국신민으로,중국 건국 이후 56개의 소수민족 중 하나로 중국 길림성 연변 조선족 자치구에 터를 잡고 살아가며 이어지고있다. 이들은 역사와 정치적 변화의 굴레 속에서 국가와 민족의 정체성을 스스로 “입고”, “벗기”를 반복할 밖에없는, 디아스포라의 면모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첫 번째 결과물로써 이 작업은, 하나의 세계 속에서 서로다르게 생각하며 살아가고 있는 나와 그들의 이야기를 “몸”, “말”, “소리”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이야기를엮었다. 이해와 오해 사이에서 섣불리 마침표를 찍지 않는 엇갈림의 대화들을 들려주고자 한다.

List of Works
1. Cross a River, Single channel video, 1min 8sec, 2016
2. Body, Single channel video, 4min 17sec, 2016
3. Words, Single channel video, 4min 8sec, 2016
4. Sound, Single channel, 6min 29sec, 2016

This work is the one of results of “Korean Diaspora” project which I newly started in 2016. During the research for this issues, I’ve become more interested in “Korean Chinese” who use still the same words and letter just like Korean unlike the other Korean diaspora. The history ofKorean immigration start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immigrant who moved to China, have experienced tumultuous history of 20th century, they changed their identity such as from Joseon-era people to Japanese Loyalty, now they are called “Korean Chinese” who is the one of the 56ethnic groups in China, live in Yanbian Autonomous prefecture. They had no chance to reiterate to take off, to put on their national identity like it is the figure of diaspora itself. As the first work, I weave their story which consists of keywords such as body, words and sound. Between the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I would like to set the stage for cross-conversation that does not put a period, rashly.

작가 약력

안유리는 지난 몇 년 간 이동하는 삶을 살면서 장소는 존재하나 그곳에 살았던 사라진 말과 이야기들에 관심을가지게 되었다. 대상을 재현하여 물성에 박제하기보다, 지금, 이곳의 시공간으로 불러내어 지켜보는 것을선호한다. 때문에 텍스트, 비디오, 사운드처럼 시공간의 이동이 자유로운 매체에 담아 표현한다. 2016 년 이래,코리안 디아스포라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2014 년 헤리트 리트벨트 아카데미(Gerrit Rietveld Academie)를졸업한 후 한국으로 돌아왔다. 2015 년 서울시립미술관 신진작가 전시지원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첫 개인전<추수할 수 없는 바다>(아트 스페이스 풀, 서울, 2015)를 열었고, 이후 두 번째 개인전 <항해하는말들>(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2015), 서울문화재단 서교예술실험센터 유망예술 시각예술분야에 선정되어세 번째 개인전 <돌아오지 않는 강>(서교예술실험센터, 서울, 2016)을 열었다. 주요 그룹전으로 <NeoGeography 1>(뉴샤텔 예술센터, 뉴샤텔, 2017), <Neo Geography 2>(탈영역 우정국, 서울, 2017), <당신은몰랐던 이야기>(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서울, 2018), 경기도미술관-가오슝미술관 교류 주제전 <Moving &Migration>(가오슝미술관, 대만 + 경기도미술관, 안산, 2019), 안유리+허광표 2 인전 <모두말하기:파레시아>(청주시립대청소미술관, 청주, 2020), <사랑을 위한 준비운동>(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서울, 2021), <아트스펙트럼 2022>(리움미술관, 서울, 2022) 등이 있다.

Bio

Yuri An is interested in the disappeared words and stories that once lived in places. Instead of recreating and giving the subjects physical properties, the artist prefers to recall them to the current time and space and to observe. As a result, she uses media that are free from time and space: via text, video, and sound. Ever since 2016, Yuri An has been involved in a Korean diaspora project. She graduated from Gerrit Rietveld Academie in Amsterdam, the Netherlands, and came back to Korea in 2014. Yuri An was selected as <Emerging Artists 2015 of SeoulMuseum of Art>, then she held her first solo exhibition The Unharvested Sea(Art Space Pool,Seoul, 2015). In the same year, she held second solo exhibition Sailing Words(Cheongju ArtStudio, Cheongju, 2015). Her third solo exhibition River of No return(Seoul Art Space Seogyo, Seoul, 2016) held due to support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he participated in several group exhibitions: Neo Geography 1(Centre d'art Neuchâtel, Switzerland, 2017), NeoGeography 2(Post Territory Ujeongguk, Seoul, 2017), How little you know about me(National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2018), Moving & Migration(KaohsiungMuseum of Fine Arts, Taiwan +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Ansan, 2019), Yuri An + XuGunagbiao_To Speak Everything: Parrhesia(CMOA Daecheongho Museum of Art, Cheongju,2020), as the Practice of Learning(Nam-Seoul Museum of Art, Seoul, 2021), ARTSPECTRUM2022(Leeum Museum of Art, Seoul, 2022)

yurian.kr